This site is under construction.
E341
"
P011 on
Remarks on Poetry by Ch’ŏnggang (Compendium of Remarks on Poetry)
Entry Text
金慕齋。以宣慰送日本使弸中。慕齋書崔孤雲。沙汀立馬待回舟。一帶烟波萬古愁。直得山平兼水竭。人間離別始應休。一絶曰。此吾少時送友之作也。弸中笑曰。氣骨非宣慰所述。慕齋歎服。
김모재(金慕齋)는 선위사(宣慰使)로서 일본 사신 붕중(弸中)을 전송했다. 이때에 모재가 최고운(崔孤雲)이 지은, 모래톱에 말 세우고 돌아갈 배 기다리니 / 沙汀立馬待回舟 한 지대의 안개에 만고 수심 쌓였네 / 一帶煙波萬古愁 바로 산이 평지가 되고 물이 말라야만 / 直得山平兼水竭 인간에 이별이라는 것이 비로소 없어지리 / 人間離別始應休 라는 시 한 수를 써 주면서 말하기를, “이 시는 내가 젊었을 때에 벗을 전송하면서 지은 것이오.” 라고 하였는데, 붕중이 웃으면서 말하기를, “기골(氣骨)이 선위사의 지은 것은 아니외다.” 하므로, 모재는 탄복하였다.
When Kim An’guk served as a Pacification Commissioner (sŏnwisa), while seeing off the Japanese envoy Hōchū, he wrote down Ch’oe Ch’iwŏn’s quatrain, 沙汀立馬待回舟一帶烟波萬古愁直得山平兼水竭人間離別始應休 Halting the horse by the sandbar, I await the returning boat. A stretch of mists and waves stirs up the sorrow of thousands of ages. Only when the hills are leveled and the waters run dry,will partings in the mortal world come to an end.Kim said, “I composed this poem as a child when seeing off a friend.” Hōchū laughed and said, “The poem’s vigor in content (kigol) tells me that it is not your work.” Kim gasped in admiration.
Knowledge Graph
Geographic Context
Historical Time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