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ite is under construction.
E314
"
P011 on
Remarks on Poetry by Ch’ŏnggang (Compendium of Remarks on Poetry)
Entry Text
詩人寓咏。大抵以含諷爲奇。金頤叔東湖亭篇以保樂。求咏於申企齋。企齋於頤叔爲姊氏子也。作七言律。而寓諷於其中。金不之解。企齋又題沈貞之逍遙堂。有落葉藏秋壑。斜陽暎半山之句。盖以王賈論也。沈亦殊未覺。
시인들이 뜻을 붙여 읊은 것은 대저 풍자를 함축한 것을 기묘함으로 삼는다. 김이숙이 동호에 있는 정자를 보락정(保樂亭)이라 편액을 붙이고, 정자 운(韻)을 신기재(申企齋)에게 청하였다. 기재는 이숙에게는 그의 누님 아들이 된다. 시에, 진퇴에 걱정 있어도 공은 낙을 보존하고 / 進退有憂公保樂 행장에 뜻이 없어 나의 참을 온전케 하네 / 行藏無意我全眞 강산은 모두 한손에 농락되고 / 江山盡入陶甄手 달 아래 피리는 비단옷 입은 사람에게 마땅하네 / 月笛還宜錦繡人 라고 시를 지었는데, 김이숙은 알아보지 못하였다. 또 심정(沈貞)의 소요당(逍遙堂)에 쓴 시에는, 낙엽은 가을 산골에 쌓이고 / 落葉藏秋壑 사양은 빈 산에 비춘다 / 斜陽映半山 라는 글귀가 있었는데, 대개 왕가(王賈 왕은 왕안석(王安石), 가(賈)는 가사도(賈似道)를 지칭하는데 송(宋)의 간신)로써 논한 것이었으나 심정은 또한 자못 깨닫지 못하였다.
Generally speaking, when a poet writes a poem with an implied meaning, the incorporation of satire (p’ung) is considered to be an extraordinary (ki) quality. Kim Allo gave the name “Porak (Preserving Joy)” to his pavilion on East Lake and asked Sin Kwanghan to write a poem about it. Sin was a son of Kim’s older sister. Sin wrote a seven-character regulated poem, but Kim could not comprehend the implied satire in the poem. Sin also wrote a poem about Sim Chŏng’s 沈貞 (1471–1531) Soyo Hall (The Hall of Free and Easy Wandering), which includes the lines, 落葉藏秋壑斜陽映半山 Falling leaves conceal the autumn ravine.Setting sun illumines the half hill. These lines imply the discussion about Wang Anshi and Jia Sidao 賈似道 (1213–1275). However, Sim did not realize their implied meaning either.
Knowledge Graph
Geographic Context
Historical Time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