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ite is under construction.

E026

From Poetry Talks
Jump to: navigation, search

"

 Entry Text

夫詩。以意爲主。設意最難。綴辭次之。意亦以氣爲主。由氣之優劣。乃有深淺耳。然氣本乎天。不可學得。故氣之劣者。以雕文爲工。未嘗以意爲先也。盖雕鏤其文。丹靑其句。信麗矣。然中無含蓄深厚之意。則初若可翫。至再嚼則味已窮矣。雖然。自先押韻。似若妨意。則改之可也。唯於和人之詩也。若有險韻。則先思韻之所安。然後措意也。句有難於對者。沈吟良久。不能易得。卽割棄不惜。宜也。方其構思。思若沈僻則陷。陷則着。着則迷。迷則有所執而不通也。惟其出入往來。變化自在。而達于圓熟也。或有以後句救前句之弊。以一字助一句之安。此不可不思也。

대저 시란 뜻으로 주를 삼는 것이니 뜻을 베푸는 것이 가장 어렵고, 말을 꾸미는 것이 그 다음 어렵다. 뜻은 기운으로 주를 삼는 것이니, 기운의 우열로 말미암아 곧 천심(淺深)이 있게 된다. 그러나 기운은 하늘에 근본한 것이니, 배워서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기운이 약한 자는 문장을 수식하는 데 공을 들이고 뜻으로 우선을 삼지 않는다. 대개 문장을 다듬고 문구를 수식하면 그 글은 참으로 화려할 것이나, 속에 함축된 심후한 뜻이 없으면 처음에는 꽤 볼 만하지만, 재차 음미할 때에는 맛이 벌써 다한다. 시를 지을 때에는 먼저 낸 운자가 뜻을 해칠 것 같으면 운자를 고쳐 내는 것이 좋다. 다른 사람의 시를 화답할 경우에 만일 험한 운자가 있거든, 먼저 운자의 안치할 바를 생각한 다음에 뜻을 안배해야 한다. 시구 중에 대(對)를 맞추기가 어려운 것이 있으면, 한참 동안 침음(沈吟)해 보아서 능히 쉽게 얻을 수 없거든 곧 그 시구는 아낌없이 버리는 것이 좋다. 시를 구상할 때에 깊이 생각해 들어가서 헤어나지 못하면 거기에 빠지고, 빠지면 고착되고, 고착하면 미혹되고, 미혹하면 집착되어 통하지 못하게 되니, 오직 이리저리 생각하여 변화 자재하게 해야 원만하게 된다. 혹은 뒷글귀로 앞글귀의 폐단을 구제하기도 하고, 한 글자로 한 글귀의 안전함을 돕기도 하니, 이것은 생각하지 아니할 수 없다.

In poetry, meaning (ŭi) reigns supreme. The most difficult task is to work out the meaning. Word (sa) arrangement takes a secondary role. In meaning, vigor (ki) reigns supreme. The depth of meaning relies on the quality of vigor. Vigor originates from Heaven and cannot be acquired through learning. Poets with inferior (ryŏl) vigor may strive to embellish their writings, but they do not prioritize meaning. Their polished writings and painted verses may appear beautiful, but lacking profound (simhu) meaning within, they may provide initial enjoyment, yet their flavor (mi) quickly fades upon repeated contemplation. When composing poetry, even when working with predetermined rhymes, if the rhymes hinder the meaning, it is acceptable to make changes. When matching someone else’s poem, if it features difficult rhymes, first work on matching the rhymes and then address the meaning. If, even after much consideration, finding a parallel verse proves challenging, do not hesitate to abandon the verse. When conceptualizing the structure of the poem, overthinking can lead to getting stuck. Being stuck leads to being trapped, and being trapped results in losing one’s way. When one is lost, whatever one writes fails to convey the meaning. Only by moving and transforming freely can a poem reach its rounded maturity. At times, the second line can compensate for any deficiency in the first line, and a single word can determine the quality of an entire line. Keep these points in mind.

 Knowledge Graph

graph is loading...

 Geographic Context

 Historical Time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