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ite is under construction.
E006
Yi Kyubo on
Jottings by Paegun (Compendium of Remarks on Poetry)
Entry Text
俗傳學士鄭知常嘗肆業山寺。一日夜月明。獨坐梵閣。忽聞詠詩聲曰。僧看疑有刹。鶴見恨無松。以爲鬼物所告。後入詩院。考官以夏雲多奇峯爲題而押峰韻。知常忽憶此句。仍續成書呈。其詩曰。白日當天中。浮雲自作峰。僧看疑有刹。鶴見恨無松。電影樵童斧。雷聲隱寺鐘。誰云山不動。飛去夕陽風。考官至頷聯。極稱警語。遂置之嵬級云。僧看鶴見一聯雖佳。其他皆是穉髫語。何所取而至於去魁。未可知也。
세속에서 전한 바에 의하면, 학사(學士) 정지상(鄭知常)이 일찍이 산사(山寺)에서 공부할 적에 달 밝은 어느 날 밤 혼자 절에 앉아 있노라니, 갑자기 시 읊는 소리가 들렸는데 그 시에, 중은 보고 절이 있나 의심하고 / 僧看疑有刹 학은 보고 소나무가 없는 것을 한한다 / 鶴見恨無松 하니, 그는 귀신이 알려 준 것이라고 생각했다. 뒤에 시원(試院)에 들어가니, 고관(考官)이 ‘여름 구름은 기이한 봉우리가 많다.’라는 것으로 글제를 삼고 봉(峯) 자 운(韻)을 냈다. 지상은 갑자기 그 글귀가 기억나서 이내 시를 잇달아 지어서 써 올렸는데, 그 시는 다음과 같다. 해가 중천에 당하니 / 白日當天中 뜬 구름이 절로 봉우리를 이루네 / 浮雲自作峰 중은 보고 절이 있나 의심하고 / 僧看疑有寺 학은 보고 소나무 없는 것을 한한다 / 鶴見恨無松 번개 빛은 초동의 도끼요 / 電影樵童斧 우레 소리는 은사의 종일러라 / 雷聲隱士鍾 누가 산이 움직이지 않는다 하느뇨 / 誰云山不動 석양 바람에 날아가는 것을 / 飛去夕陽風 고관은 그 시를 읽어가다 함련(頷聯)에 이르러선 경어(驚語)라고 극찬하고는 드디어 우등으로 뽑았다 한다. 그러나 ‘중은 보느니’ ‘학은 보느니’한 한 연구는 비록 아름답지만, 기타의 것은 모두가 어린애의 말인데, 무엇을 취할 것이 있다고 우등으로 뽑기까지 했을까. 알 수 없는 일이다.
According to what is being transmitted in the world, when Academician (haksa) Chŏng Chisang 鄭知常 (d. 1135) was staying at a mountain monastery for his studies, one moonlit night, as he sat alone inside a meditation room, he suddenly heard the chanting of the following poetic line. 僧者疑有剎鶴見恨無松 A monk gazes and wonders whether a temple is there. A crane sees and is saddened there are no pines. e thought a ghost was telling him this. Later, when he went to take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 examination officer presented the topic “Summer clouds have many strange peaks” to be written to the rhyme word “peaks” 峰. Suddenly recalling the line, Chŏng wrote it down, and this is the poem he composed: 白日當天中 夏雲自作峰僧看疑有刹鶴見恨無松 電影樵童斧雷聲隱寺鐘誰云山不動飛去夕陽風 Dazzling sun is at its zenith.Summer clouds form tall mountain peaks.The monk gazes and wonders if a temple is there. Cranes see and are saddened there are no pines.Lightning flashes like a woodcutter’s axe.A crash of thunder strikes like a hidden temple’s bell.Who said mountains do not move?They’ve flown away in the sunset wind. Upon reaching the second couplet, the examiner praised it highly, calling it a striking expression (kyŏngŏ), and placed him in first place. Although the couplet is excellent (ka), the rest of the poem contains childish expressions. I will never understand why the poem received the top gr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