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ite is under construction.

E025

From Poetry Talks
Jump to: navigation, search

"

 Entry Text

詩有九不宜體。是余之所深思而自得之者也。一篇內多用古人之名。是載鬼盈車體也。攘取古人之意。善盜猶不可。盜亦不善。是拙盜易擒體也。押强韻無根據。是挽弩不勝體也。不揆其才。押韻過差。是飮酒過量體也。好用險字。使人易惑。是設坑導盲體也。語未順而勉引用之。是强人從己體也。多用常語。是村夫會談體也。好犯丘軻。是凌犯尊貴體也。詞荒不刪。是茛莠滿田體也。能免此不宜體格。而後可與言詩矣。

시(詩)에는 아홉 가지의 불의체(不宜體 마땅하지 않은 체)가 있으니, 이는 내가 깊이 생각해서 자득한 것이다. 한 편 안에 옛사람의 이름을 많이 쓰는 것은 바로 재괴영거체(載鬼盈車體)요, 옛사람의 뜻을 절취하는 것은, 좋은 것을 절취함도 오히려 불가한데 절취한 것도 또한 좋지 못하다면 이것은 바로 졸도이금체(拙盜易擒體)다. 그리고 강운(强韻)을 근거없이 내어 쓰는 것은 바로 만노불승체(挽弩不勝體)요, 그 재주를 요량하지 않고 운자를 정도에 지나치게 내는 것은 바로 음주과량체(飮酒過量體)요, 험한 글자를 쓰기 좋아하여 사람으로 하여금 의혹되기 쉽도록 하는 것은 바로 설갱도맹체(設坑導盲體)요, 말이 순조롭지 못한데 사람이 그것을 쓰도록 힘쓰는 것은 바로 강인종기체(强人從己體)요, 통상 말을 많이 쓰는 것은 바로 촌부회담체(村夫會談體)요, 구가(丘軻 구는 공자 이름이고 가는 맹자 이름이다)같은 것을 쓰기 좋아하는 것은 바로 능범존귀체(凌犯尊貴體)요, 거친 말을 산삭하지 않은 것은 바로 낭유만전체(莨莠滿田體)다. 이 불의체를 능히 면한 뒤에야 더불어 시를 말할 수 있다.

There are nine styles (ch’e) of poetic composition that one should avoid. I arrived at this understanding through careful contemplation. They are as follows: Excessive name-dropping. This is “carrying a cartload of ghosts.” Stealing ideas from the ancients. Stealing good ones is bad enough, let alone stealing bad ones! This is “clumsy thieves can be caught easily.”Forcing difficult rhymes for no good reasons. This is “being unable to hold an overdrawn bow.” Attempting a rhyme beyond one’s capabilities and failing entirely. This is “drinking too much wine.”Having a fondness for using obscure words that confuse the reader. This is “digging ditches for the blind.”Imposing coarse expressions upon others. This is “coercing others into following.”Excessively using colloquialisms. This is “conversations of country bumpkins.”Having a penchant for flouting Confucius and Mencius by not using honorific expressions when referring to them. This is “insulting the worthies.”Not trimming prolixity. This is “a field full of weeds.” Only by avoiding these faulty styles (ch’egyŏk) can one engage in meaningful discussions about poetry.

 Knowledge Graph

graph is loading...

 Geographic Context

 Historical Time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