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ite is under construction.

E086

From Poetry Talks
Jump to: navigation, search

"

 Entry Text

成化,弘治年間。有一書生姓韓。讀書於永安道山寺。有藍衣老夫乞米於村野。遇書生曰。措大苦讀何書。僕平生丏食足矣。仍書一絶云。懶倚紗囱春日遲。紅顏空老落花時。世間萬事皆如此。叩角謳歌誰得知。東人嘗云。我邦褊小。有才必達。豈有滄海遺珠之嘆。今吾所聞如是。則吾所未聞如老夫者。未知幾人在野。幾人在市乎。韓學而篤論君子。必不妄語者。爲余道此。

성화(成化)ㆍ홍치(弘治) 연간에 한씨(韓氏) 성을 가진 한 서생이 영안(永安)의 도산사(道山寺)에서 글을 읽고 있었는데, 남빛 옷을 입은 한 늙은이가 마을로 쌀을 구걸하러 다니다가 서생을 만나 말하기를, “선비는 무슨 책을 애써 읽고 있소. 나는 평생을 걸식으로 만족하는 사람이오.” 하고는 절구 한 수를 썼는데, 하염없이 사창에 기대 있으니 봄날이 더디고 / 懶倚紗窓春日遲 홍안은 속절없이 늙어 꽃 지는 시절이로다 / 紅顔空老落花時 세상 만사가 모두 이와 같은데 / 世間萬事皆如此 피리 불며 노래 부른들 그 누가 알리 / 叩角謳歌誰得知 하였다. 동국 사람이 일찍이 말하기를, “우리 나라는 좁아서 재주 있는 사람은 반드시 영달할 수 있는데, 어찌 버려지는 인재가 있다는 탄식이 있겠는가.” 하였는데, 지금 내가 들은 것이 이와 같으니, 내가 아직 듣지 못한 이 늙은이와 같은 사람이 몇 사람이나 전야에 묻혀 있으며, 몇 사람이나 시장에서 썩고 있을까. 한씨 서생은 학문이 있고 논의가 독실한 군자로 망령된 말을 하지 않을 자이다. 나를 위하여 이를 말한다.

1. Between the years of Chenghua (1465–1487) and Hongzhi (1488–1505), a certain scholar surnamed Han studied at the Tosan Temple in Yŏngan. An elderly man in a blue robe, begging for rice in the village, met Han and said, “You, a wretched scholar! What are you studying in such agony? All my life, I have been content begging for food.” Then he composed the following quatrain, 懶倚紗窓春日遲紅顏空老落花時世間萬事皆如此叩角謳歌誰得知 Idly I lean on the veiled window as the spring day passes slowly.Youthful faces have aged in vain, and now it’s time for the flowers to fall.Myriad affairs in this worldall go around this way.Strike your horn and sing madly,but who would understand your sound? Some people of the Eastern country said, “Since our country is small, anyone that has talent surely reaches his goal. How can one bemoan being a lost pearl in the ocean?” If what I hear today were like this, how many, like this elderly man that I had never heard about before, are there in the countryside and cities? Han is someone who studies and sincerely speaks about the sages, and he surely won’t utter empty words. He told me this.

 Knowledge Graph

graph is loading...

 Geographic Context

 Historical Time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