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ite is under construction.
E169
"
Kim Allo on
Records of Discourses in Solitude by Yongch’ŏn (Compendium of Remarks on Poetry)
Entry Text
詔使倪謙之來。申保閑叔舟與之遊。賞手把一集。衣面以小楷書泛翁保閑之字也二字。乃匪懈堂筆也。倪謙見之曰。筆法甚妙。此誰所書也。文忠跪言。吾友姜景愚希安之字也也。謙出紙求書。文忠贈以仁齋希顔之號也書。謙曰。非一筆也。世廟聞之曰。王子公孫貴乎文雅。其於藝何諱。令匪懈堂書與之。後國人赴燕者求妙筆。燕人曰。爾國自有第一。何勞遠購。以是知淸之匪懈堂之字也。之蹟見重於中國也。陳倪藻識之神。能辨其眞贋於雙句片字之間。誠可貴也。
조사(詔使) 예겸(倪謙)이 왔을 때 문충공(文忠公) 신숙주(申叔舟)가 그와 더불어 교류하였다. 신숙주가 손에 책 한 권을 들고 있었는데 그 표지에는 작은 해서(楷書) 글씨로 범옹(泛翁)문충공의 자(字) 이라는 두 글자가 적혀 있었으니, 이것은 비해당(匪懈堂 안평대군)이 쓴 글씨였다. 예겸이 그것을 보고, “필법(筆法)이 아주 신묘한데 누가 쓴 것입니까.” 하고 물으니, 문충(文忠)이 거짓말로, “나의 벗 강경우(姜景遇)가 쓴 것이오.” 라고 대답하였다. 예겸이 종이를 꺼내어 주며 그 사람의 글씨를 받아 줄 것을 청하였다. 문충이 인재(仁齋 강희안(姜希顔))의 글씨를 받아 주었더니, 예겸이 말하기를, “같은 사람의 글씨가 아닙니다.” 하였다. 세조가 이 말을 듣고, “왕손(王孫)과 공자(公子)는 건전한 문예를 높이 평가하는 것이니 예술에 있어서 기피할 까닭이 무엇인가.” 하고, 비해당을 시켜 글씨를 써서 주도록 하였다. 그 후에 우리 나라 사람이 중국에 가서 좋은 글씨를 구하려 하면 중국 사람들이, “당신 나라에 제일가는 사람이 있는데 무엇 때문에 멀리 와서 글을 구입하려 하오.” 하였다. 이래서 청지(淸之)비해당의 자(字) 의 글씨가 중국에서 중요시되게 된 것이다. 진감이나 예겸 같은 사람은 감식력(鑑識力)이 신같이 깊어서 한 자 한 구절을 보고도 능히 진짜와 가짜를 판별할 수 있었으니, 진실로 귀한 존재였다.
1. When the Chinese emissary Ni Qian came, Sin Sukchu (sobriquet Pohanjae [Idleness Studio]) accompanied him for sightseeing. Sin was holding a book in his hand, and on its cover were written two characters “pŏm ong” 泛翁 (Drifting Old Man) in standard style. It was a calligraphy by Prince Anp’yŏng.When Ni saw it, he asked, “The calligraphy is exquisite. Whose work is it?” Sin lied to him, saying, “It is by my friend Kang Hŭian.” Ni then gave him a piece of paper and requested Kang’s calligraphy. Later, Sin presented him with Kang’s calligraphy, but Ni responded, saying, “This is not by the same hand.” When King Sejo heard about this incident, he remarked, “Royal descendants and sons of high officials should value literary refinement. If they possess artistic talents, why should they conceal them?” Then the king ordered Prince Anp’yŏng to write something and give it to Ni. Later, when some of our people who went to Beijing sought exquisite calligraphy, the people of Beijing replied, “Your country already has a first-class calligrapher. Why bother purchasing one from afar?” Thus, we learned that Prince Anp’yŏng’s calligraphy was highly regarded in China. Both Chen Jian and Ni Qian were expert literary connoisseurs who had the ability to discern whether a work was genuine or fake just by looking at a single line or character. They are truly admirable.
Knowledge Graph
Geographic Context
Historical Timeline
"